2023.03 ~ 현재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육공학전공 석사과정 2018.03 ~ 2023.02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국어교육과 (학사)
경력
2023.03 ~ 현재 서울대학교 미래교육혁신센터 연구원 2022.01 ~ 2022.07 (주)트레셋 인턴
이메일
minhee1603@snu.ac.kr
국가연구자번호
13061747
任敏希 Minhee Lim
연구 및 프로젝트
참여한 연구 및 프로젝트 목록입니다.
진행 중
대학연대 융복합 플랫폼 사업단 기획 (2023.07 ~ 2024.02)
지방소멸, 대학소멸에 대응하기 위한 지역대학 중심의 ‘대학연대 융복합 플랫폼 사업단’을 구축하고 세부 운영전략을 수립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서울대학교의 인적·물적 인프라를 활용하여 서울대-지역대학 공동 교육 및 실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지역대학 학생들의 수강 및 인증 체계를 마련함으로써 수도권-지역대학 상호협력을 통한 미래인재 양성 체제를 구축하고 지역 내 취업 및 창업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완료
메타버스 통합 도서관 플랫폼 및 콘텐츠 구축방안 연구 (2023.08 ~ 2024.01)
강원도교육청 소속 학교들이 사용할 수 있는 메타버스 통합 도서관을 구축하기 위해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공간 모형을 개발하고, 현장 적용을 위한 운영 전략을 제시하였습니다. 문헌분석 및 학교 도서관 전문가 대상 FGI를 실시하였습니다.
예비교원의 현장 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현장 적합형 실습 과정 및 프로그램 운영 (2023.07 ~ 2023.12)
서울대학교 미래교육혁신센터에서 현장 중심의 교원 인재 양성을 위해 교원양성센터와 연계하여 운영 중인 PIN (Preservice-Inservice Network) 프로젝트입니다. PIN이란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교원과 중등학교의 현장교원을 연결하는 협력체계를 말하며, 2023년도에는 디지털·AI 기반 교수설계역량 향상을 목표로 참여 의사가 있는 예비 교원과 현장 교원을 선정하여 1인 멘토-1인 멘티 체계를 구축한 후 디지털·AI 기술 기반 교수설계역량 강화를 위한 4가지 멘토링 활동으로 ‘수업 참관 및 코칭’, ‘수업지도안 작성’, ‘수업 시연 혹은 영상 콘텐츠 개발’, ‘수업 콘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예비교원 디지털 역량 강화 교육과정 개선 (2023.07 ~ 2023.12)
예비교원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하여 디지털 환경에서 다양한 미래형 교수학습방법을 도입한 교육과정의 개발, 개편 및 운영을 지원하고 해당 교육과정의 운영성과를 체계적으로 확인하는 프로젝트입니다. 디지털 활용 교육 측면에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및 경인교육대학교의 2023년도 2학기 개설강의 각 5개에 대해 강의계획서 컨설팅, 교수자 수업자료 제작지원, 교육 콘텐츠 제작 지원, 성과물 공유 시스템 운영, 현장교사 특강 지원, 교육과정 개편 효과성 평가 등을 실시하였습니다.
중등 예비교원 양성대학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교수자 워크숍 개발 (2023.07 ~ 2023.12)
전년도 AIEDAP 사업에서 도출된 예비교원 양성대학 교원들의 AI·디지털 역량 모형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방향에 근거하여 예비교원 양성대학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워크숍을 개발 및 운영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유사 사례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예비교원 양성대학 교원들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요구분석을 진행하였습니다. 워크숍은 현장 교원의 AI·디지털 융합수업 사례, Orange3를 활용한 데이터 분석, 예비교원 양성대학의 AI 융합교육 실천 사례로 구성되었으며, 11/7(화)-11/9(목) 3일간 진행되었습니다.
중등 예비교원 양성대학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코티칭 모형 개발 (2023.04 ~ 2023.12)
전년도 AIEDAP 사업에서 도출된 예비교원 양성대학 교원들의 AI·디지털 역량 모형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방향에 근거하여 교원 간 상호작용을 통해 AI·디지털 융합수업의 질을 향상하는 코티칭 모델을 개발하였습니다. 2023년도 1학기에는 현존자료 분석과 요구 분석, 전문가 자문을 통해 코티칭 모형에 대한 시사점을 확보한 후 모형 초안을 개발하였으며, 이에 대한 사용성 평가를 거쳐 수정안을 도출한 후 이를 사범대학 2개 강의에 적용하였습니다. 2023년도 2학기에는 개선된 코티칭 모형을 사범대학 및 교육대학 4개 강의에 적용하였습니다.
교수자의 교수설계 지원을 위한 AI코스웨어 대시보드 프로토타입 개발 (2023.03 ~ 2023.12)
공교육 현장에서 AI 코스웨어 활용을 위한 교수자용 대시보드 프로토타입을 개발한 연구입니다. 선행문헌 분석을 통해 학교 현장에서의 AI 도구 활용 시나리오를 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전문가/교사 요구분석을 진행하여 초등 수학교육 맥락을 중심으로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습니다.
CJ프레시웨이 신임 리더 교육 프로그램 개발 (2023.03 ~ 2023.07)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체제설계' 수업의 일환으로 CJ프레시웨이와의 산학협력 프로젝트에 참여하였습니다. RPISD 방법론을 적용하여 CJ프레시웨이 신임 리더 교육 프로그램(안) 및 이에 따른 산출물을 개발하였고, 2023년 7월 중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을 실제 현장에 적용하였습니다. 프로그램 적용 결과를 바탕으로 산출물 수정이 이루어졌으며, 추가적인 운영 개선안을 제시하였습니다.
예비교원의 AI·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프로토타입 개발 및 적용 (2022.09 ~ 2023.01)
교육부 AIEDAP 사업의 'AI·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중등 예비교원 양성체제 개선' 과제의 일환으로 중등 예비교원의 AIㆍ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습니다. RPISD 방법론을 적용하여 2종의 교육 프로그램(안), 교수자용 매뉴얼, 운영자용 매뉴얼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예비교사를 위한 AI/디지털 역량 강화 워크숍', '수학/과학 예비교사를 위한 데이터 과학 및 머신러닝 워크숍'을 운영하였습니다. 프로그램 운영이 종료된 이후에는 효과성 평가 및 만족도 조사 결과에 따라 개선안을 도출하였습니다.
LG CNS AI지니어스 아카데미 운영지원 (2022.01 ~ 2023.07)
(주)트레셋에서 인턴으로 근무하며 고등학생 대상 AI 교육 프로그램인 AI지니어스 아카데미 콘텐츠 개발 및 운영지원을 담당하였습니다. 교육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다양한 아이디어를 구상 및 실현하였으며, 학습자 관리를 보조하였습니다.
학술대회 및 학술논문
학술대회 및 학술논문 소개 페이지입니다.
추후 업데이트 예정
문 의
e-mail
minhee1603@snu.ac.kr
문의 및 기타 연락은 메일을 통해 받고 있습니다. 간단한 문의는 본 페이지에 등록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